1️⃣ 유선통신망
🩶 회선 교환망 (circuit switching network)
- 전화기 발명 초기에는 수동식 전화교환 시스템
- 수동직 전화교환 시스템: 교환원이 상대방을 선으로 연결해줌
- = 회선 교환
- 회선 교환 방식 (circuit switching): 전선을 바꿔가며 통신하는 방식
- 이후 전자식 교환기 생김
- 전화번호 누르면 해당하는 선을 자동으로 연결해줌
- 전자식 교환기를 사용하는 전화망 = 자동식 회전 교환 방식
- 자동식 회전 교환 방식 사용하는 네트워크 = 회선 교환망, 회선 교환 네트워크
- 통신 원하는 호스트가 데이터 전송 전에 연결 경로 미리 설정
- 데이터가 흘러가기 전에 루트가 만들어짐
- 공중 교환 전화망 (PSTN)
- 이 전화망은 통신이 시작되기 전에
- 통신 합의 과정 필요 (전화 받음/ 안받음)
- 콜셋업 필요 (경로 설정)
- 02-574 누르면, 02-5-7-4 연결됨
- 독점 사용 및 시간당 과금
- 이 전화망은 통신이 시작되기 전에
🩶 패킷 교환망 (packet switching network)
- 경로: IP 주소를 보고 라우터가 패킷을 어느 선으로 보낼지 결정한게 모인 것
- 이러한 특징으로, 인터넷은 패킷 교환망이라고 부름
- 회선 교환망 구조와 비교하면, 전자식 교환기가 라우터로 바뀐 모양
- 상대방과 통신 시작 합의 없이 무조건 데이터 전송 → 전보 방식
- 패킷 교환망은 콜 셋업 없음
- → 가장 빠르다고 생각하는 길로 패킷 이동 (정해진 길이 없음)
- 패킷들은 서로 다른길을 가다가 순서가 뒤바뀌거나 사라지기도 함 (마지막에 다시 맞춤)
- = 패킷 교환 네트워크
🩶 전화망과 인터넷망의 비교
- 전화망 (회선 교환망)
- 관리 주체 분명 (정부, skt...)
- 일관된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전송 (지역번호 존재)
- 콜 셋업을 통해 이동경로 정함
- 정해진 경로 공유 불가 (나만 씀 -> 독점)
- 데이터 안정적 전송 (독점하기 때문)
- 데이터 순서대로 도착
- 인터넷 망 (패킷 교환망)
- 관리 주체 다 다름
- 라우터의 협업에 의해 패킷 전송
- 최대한 빠른 길로 패킷 전송
- 모든 선을 패킷들이 공유
- 네트워크 효율성 향상
- 가끔 데이터 순서 바뀌거나 사라짐
🩶 사설망
- 사설망: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네트워크 (cf. 공중망)
- 보안 때문에 사용 (금융 전산망)
- VPN: 이미 설치된 인터넷 망을 가지고 사설 네트워크를 만든 것
- 회선교환과 패킷 교환의 장점을 모두 가진 가상회선 방식
🩶 VPN (Virtual Private Network)
- Private Network (사설망)
- 개인이나 기업이 사적 목적으로 전용 회선 설치
- 사설 IP 주소 부여해서 만든 근거리 통신망 (LAN)
- → 인트라넷
- cf. 공중망: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
- 개인이나 기업이 사적 목적으로 전용 회선 설치
- 가상(Virtual)
- 인트라넷은 제 3자 접근 금지
- 회선 없으면 망 자체 접근 불가능
- 따라서 지역 제한 없이 업무 할 수 있게 전용 회선 임대해서 원격지까지 연결함
- 회사 규모에 따라 전용선 구축 비용이 늘어남
- 그러므로, 사설망을 가상화 시켜 인터넷 위에 구현 → 가상사설망
2️⃣ 무선통신망
🩶 무선통신망의 역사
- 무선 호출기
- 단망향 무선통신 시스템
🩶 세대별 이동통신 서비스
- 1G
- 아날로그 방식 (라디오)
- 2G
- 아날로그 방식을 디지털로 바꿈
- 3G
- 무선 데이터 동신
- 4G
-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
- 5G
- 최대 20Gbps 속도
- 응답지연 시간 혁신적으로 줄임
🩶 휴대폰 서비스의 특징
- 휴대폰 영어 명칭: 셀룰러 폰
- 하나의 기지국이 담당하는 영역: 셀
- 육각형 모양 (원으로 그리면 빈공간 생김)
- 하나의 셀에서 다음 셀로 넘어가는 것: 핸드오버, 핸드오프
- 모든 휴대폰은 내 전화기 등록되어 있는 기본 기지국 존재
- 기본 기지국은 등록된 사용자를 추적하는 역할
- 휴대폰이 이동하면 이를 추적하여 현재 어느 기지국에 머무는지 파악
- 휴대폰은 고유번호가 존재함
- 기지국으로 끊임없이 데이터를 보냄
- 내가 어디 기지국에 있는지를 계속 보내주는 것
- 누군가 나에게 전화 걸면
- 데이터는 기본 기지국으로 전송
- 기본 기지국은 데이터를 사용자가 머물고 있는 기지국으로 넘김 (서울 기지국 -> 부산 기지국)
- → 통신 이루어짐
- 휴대폰과 기지국은 현재 위치 파악을 위해 주기적 통신함
- 나의 기본 id를 기지국으로 전송
- wake up 신호
- 사용자가 전화기를 켜면 휴대폰은 wake up (깨어남) 신호를 기지국으로 보냄
- 이후 time 등의 정보를 받음
- die 신호
- 휴대폰이 die (꺼짐) 신호를 보냄
- → 기지국으로부터 OK 신호를 받아야 폰 꺼짐
- alive 신호
- 휴대폰은 주기적으로 alive (살아있음) 신호를 기지국으로 보냄
- → 기지국으로부터 OK 신호 받음
💻 Reference
'IT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hapter 07] LAN의 특징과 규격 (1) | 2024.11.06 |
---|---|
[Chapter 06]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작업 (0) | 2024.11.06 |
[Chapter 04] 유선 및 무선 데이터 전송 (0) | 2024.11.06 |
[Chapter 03] 신호 처리 (1) | 2024.11.04 |
[Chapter 02] 네트워크 분류와 계층 모델 (0) | 2024.11.04 |